본문 말씀
베드로전서 3장 8-12절 말씀
8절 마지막으로 말하노니 너희가 다 마음을 같이하여 동정하며 형제를 사랑하며 불쌍히 여기며 겸손하며,
9절 악을 악으로, 욕을 욕으로 갚지 말고 도리어 복을 빌라. 이를 위하여 너희가 부르심을 받았으니 이는 복을 이어받게 하려 하심이라.
10절 그러므로 생명을 사랑하고 좋은 날 보기를 원하는 자는 혀를 금하여 악한 말을 그치며 그 입술로 거짓을 말하지 말고,
11절 악에서 떠나 선을 행하고 화평을 구하며 그것을 따르라.
12절 주의 눈은 의인을 향하시고 그의 귀는 저희 간구에 기울이시되, 주의 얼굴은 악을 행하는 자들을 향하사 그들을 거스르시느니라.
묵상 내용
1. 함께 하나 되는 공동체의 자세 (8절)
베드로는 이 구절에서 공동체의 지향점을 제시합니다. 그는 신앙 공동체의 모든 성도들이 마음을 같이하여 서로 조화롭게 살아가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이 말은 서로의 차이를 극복하고, 동정(공감), 형제 사랑, 불쌍히 여김, 겸손한 태도로 서로를 아끼고 이해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이 구절은 현대 교회와 공동체를 향해 "서로 하나 됨"의 중요성을 일깨웁니다. 차이로 인해 갈등과 분열이 있을지라도,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이를 극복하며 화합해야 합니다.
2. 악을 선으로 이기라 (9절)
**"악을 악으로, 욕을 욕으로 갚지 말라"**는 베드로의 권면은 우리로 하여금 부르심의 목적을 기억하게 만듭니다. 성도로서 우리는 도리어 복을 빌며 선으로 악을 이기도록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이는 성령님을 힘입어 예수님이 가르치셨던 원수 사랑(마태복음 5:44)을 실천하는 삶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갈등이 일어날 때 감정적으로 대응하거나 복수를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성도는 사랑과 복을 빌며, 사탄의 공격을 선행으로 바꾸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영원한 복을 이어받게 됩니다.
3. 언행에서 비롯되는 축복 (10절)
베드로는 **"생명을 사랑하고 좋은 날 보기를 원하는 자는 혀를 금하여 악한 말을 그치라"**고 말합니다. 이는 우리의 말과 행동이 하루하루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말이 가진 힘은 무척 큽니다. 악의적이고 불평하는 말은 갈등을 낳고, 반대로 사랑과 화평의 말은 문제를 치유합니다. 우리는 혀로써 다른 사람의 삶을 세우거나 무너뜨릴 수 있음을 기억하며, 선한 말과 진실된 언어생활의 실천이 필요합니다.
4. 화평과 선을 따르는 삶 (11절)
베드로는 단지 악을 떠나라고만 권면하지 않고, 선을 행하며 화평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라고 이야기합니다. 이는 "악을 피하는 소극적인 삶"에서 멈추지 않고, 선하고 의로운 행동을 추구하며, 화평을 이루는 적극적인 삶을 말합니다.
특히 우리의 화평을 구하는 자세는 단지 개인 간의 관계를 넘어, 가정과 공동체, 사회 전체로까지 확장되어야 합니다. 화평은 단지 평온을 유지하는 것만을 넘어서, 갈등을 화해로 바꾸고, 사랑을 통해 하나님을 드러내는 과정입니다.
5. 하나님과 의인의 관계 (12절)
**"주의 눈은 의인을 향하시고 그들의 기도에 귀를 기울이신다"**는 말씀은 하나님께서 의로운 삶을 살아가는 자를 항상 주목하고 계시며, 그의 기도를 들으신다는 약속을 보여줍니다. 반면, 악을 행하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얼굴이 거스르신다는 경고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를 위해 의롭고 선한 삶을 선택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기도와 삶에 개입하시며 축복을 부어 주시는 길은 바로 의를 행하고 화평을 추구하는 삶입니다.
6. 우리 삶에 주는 교훈
이 말씀을 통해 베드로는 하나된 공동체, 악을 선으로 이기는 태도, 선한 언행, 화평과 의의 추구를 실천하도록 도전합니다.
- 성도는 개인의 신앙과 공동체 내에서 화평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 우리의 언행은 우리의 신앙을 다른 사람들에게 드러내며, 하나님의 사랑과 긍휼을 나타내는 창구가 됩니다.
- 무엇보다, 의로운 삶이 하나님과의 관계를 굳건히 세우며 기도가 응답받는 삶으로 인도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적용
이 말씀을 묵상하며, 오늘 나의 말과 행동, 그리고 갈등 속에서의 태도를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나는 혹시 악을 악으로 갚거나, 좋지 않은 언어로 갈등을 더 깊게 만들지는 않았는지 자문했습니다.
하나님께서 나를 화평과 선을 이루는 사람으로 부르셨음을 기억하며, 앞으로 나의 말과 행동을 더욱 신중히 가꾸기로 결심합니다.
특히, 갈등 상황에서 악을 선으로 갚으며 사랑으로 승리하는 삶을 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것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고, 나를 통해 하나님의 복과 화평이 흘러가도록 하겠습니다.
기도
사랑과 화평이 우리 사회에 우리 가정에 우리 교회에 흘러 넘치기를 원하시는 화평의 하나님, 하나님께서 그 일을 위해서 저를 사랑의 사도로 화평의 전도자로 부르신줄 믿습니다. 제 입술의 말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는 것이 아니라 사랑과 회복의 은혜를 줄 수 있게 파수꾼을 세워주옵소서. 오늘 하루도 선행과 화평을 위해서 제 자아를 죽이며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하나님의 귀한 자녀가 되기를 소원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하나님과 동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복음 15장 17-24절 묵상과 적용: 돌아온 탕자를 품으시는 아버지의 사랑 (0) | 2025.04.06 |
---|---|
디모데전서 1장 12-17절 묵상과 적용: 긍휼과 은혜로 살아간 삶 (0) | 2025.04.02 |
갈라디아서 4장 13-15절 묵상과 적용: 초심을 잃지 않는 신앙 (0) | 2025.04.01 |
신명기 31장 1-6절 묵상과 적용: 두려워하지 말라, 너와 함께 하시는 하나님 (0) | 2025.03.31 |
야고보서 4:13-17 묵상과 적용: 하나님의 뜻 안에서 사는 삶 (0) | 2025.03.30 |